🚨 김해공항 또 다른 참사 직전! 대만 항공기 돗대산 아찔한 초근접 비행 사건 전말
서론: 23년 전 그 악몽이 다시 떠오른다
2025년 7월 8일, 김해공항에서 또 다른 아찔한 사건이 뒤늦게 알려지며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25일 발생한 중화항공 CI186편의 돗대산 초근접 비행 사건은 2002년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의 악몽을 떠올리게 합니다.
150여 명의 승객을 태운 대만 항공기가 김해공항 착륙 도중 돗대산과 단 700m 거리에서 아슬아슬하게 비행한 이 사건은 과연 우연일까요? 아니면 김해공항이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일까요?
본문: 위험천만했던 그날의 상황
📍 사건 발생 경위
2025년 6월 25일, 대만 타오위안공항에서 출발한 중화항공 CI186편이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중 아찔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주요 사건 내용:
- 항공기: 중화항공 CI186편 (승객 150여 명 탑승)
- 사고 지점: 돗대산과 700m 거리, 지상 160m 높이
- 원인: 착륙 선회 지점보다 1.5km 늦은 선회로 인한 경로 이탈
- 결과: 1차 착륙 실패 후 재시도로 무사 착륙
👥 승객들의 생생한 증언
탑승객 패트릭 치우(대만인)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증언했습니다:
"이렇게까지 기체가 땅에 가까워지는 것은 처음 봤습니다. 도로와 차, 고속도로가 선명하게 보일 정도였습니다. 마치 난기류에 맞닥뜨렸을 때처럼 기체가 매우 흔들렸습니다. 제 뒤에 앉아있던 한 여성은 울기 시작했습니다."
🔍 2002년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와의 유사점
이번 사건이 더욱 충격적인 이유는 2002년 4월 15일 발생한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와 매우 유사한 위치에서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2002년 사고 개요:
- 사고 일시: 2002년 4월 15일 오전 11시 21분
- 사고 항공기: 중국국제항공 129편 (보잉 767-2J6)
- 사고 원인: 악천후 속 선회착륙 시도 중 돗대산 충돌
- 인명피해: 탑승객 166명 중 129명 사망, 37명 부상
- 사고 의미: 한국 영토 내 최악의 항공사고
이번 중화항공 기체가 돗대산에 가장 근접했던 지점은 23년 전 추락 사고 지점과 단 1km 떨어진 곳이었습니다.
⚠️ 김해공항의 구조적 문제점
1. 특수공항으로 분류되는 복잡한 지형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최인찬 교수는 김해공항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합니다:
"김해공항은 남풍이 불 때 산악지형 때문에 선회한 뒤 착륙해야 하는 '특수공항'으로 분류됩니다. 지형에 익숙하지 않으면 숙련된 조종사도 착륙이 쉽지 않은 곳입니다."
2. 선회착륙(서클링 어프로치)의 위험성
- 정상 상황: 북풍 시 직선 착륙 가능
- 위험 상황: 남풍 시 돗대산과 신어산을 피해 선회착륙 필요
- 문제점: 선회 구간에서 착륙 준비 거리 부족
3. 외국 항공사의 훈련 부족
"국적사 항공사 조종사들은 김해공항의 지형적 특성을 다 알기 때문에 미리 짧게 선회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외국 항공사들은 그런 훈련을 안 받아본 상태입니다."
📈 연이은 김해공항 사고들
2025년 중화항공 연속 사고:
- 6월 12일: 허가받지 않은 18L 활주로 착륙 (준사고)
- 6월 25일: 돗대산 초근접 비행 (이번 사건)
2025년 김해공항 전체 사고:
- 활주로 오착륙 사고 2건 발생
- 모두 선회착륙 과정에서 발생
결론: 김해공항 안전 대책 시급
🔧 국토교통부의 조치
현재 국토교통부는 다음과 같은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중화항공 돗대산 초근접 비행 사건 조사
- 연이은 활주로 오착륙 사고 조사
- 항공사 대상 안전 점검 강화
💡 필요한 개선 방안
- 외국 항공사 조종사 대상 김해공항 특별 훈련 의무화
- 선회착륙 시 안전 거리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 강화
- 김해공항 지형 특성을 고려한 착륙 시스템 개선
- 악천후 시 대체 공항 활용 확대
🚨 시민들의 각성이 필요한 시점
23년 전 129명의 생명을 앗아간 돗대산 참사가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는 항공 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번 사건이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나지 않고, 김해공항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승객들의 생명을 담보로 한 위험천만한 상황이 반복되지 않도록, 관련 당국의 철저한 조사와 개선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참고 자료:
- MBC 뉴스 단독 보도
- 연합뉴스 보도
- 플라이트레이더24 항로 추적 데이터